














SONY DSC









렌즈구성: 3군 5매 최대 조리개: f8.0(고정) 초점거리(Effective Focal Length): 16.5mm 이미지 영역(Field Stop): 36x24mm 화각(Angular Field): 가로 95도/세로 72도/대각선 105도 필터연결: 특수 마운트에 의한 전용 센터그라데이션 필터 연결 초점영역: 0.3m~무한대 적용거리(Working Distance)(렌즈의 앞단부터 피사체까지의 최소거리): 0.26m 최대배율: 1:28.1 Entrance Pupil: 최전방 렌즈로부터 20.8mm뒤에 위치. 지름 2.1mm Exit Pupil: 최후방 렌즈로부터 9.5mm 앞에 위치. 지름 2.0mm 제1 주점(Front Principal Point) 위치: 최전방 렌즈의 20.6mm 후방 제2 주점(Back Principal Point) 위치: 최후방 렌즈의 9.7mm 전방 후방초점거리(Back Focal Length)(최후방 렌즈와 필름면의 거리): 6.8mm 전후방 렌즈간 간격: 31.7mm 무게: 120g |
참고 |
(유효)초점거리(Effective Focal Length): 렌즈 시스템 전체의 등가 초점거리. 제 2주점과 초점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. Entrance Pupil: 피사체에서 바라본 조리개의 이미지. 조리개는 보통 렌즈의 중간에 위치하므로 광의효율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해서는 실제 물리적인 조리개가 아닌 조리개의 이미지를 가지고 계산해야 올바른 광량을 계산할 수 있다. entrance pupil이 2.1mm라는 것은 입사 광량에 대한 효율이 2.1mm지름을 가지는 핀홀 카메라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. Exit Pupil: 이미지 면(필름면)에서 바라본 조리개의 이미지. 렌즈 시스템의 출력 광량을 나타낸다. 제 1주점(Front Principal Point): 이미지면에서 입사되는 광선의 입장에서 어떠한 렌즈 시스템은 하나의 등가 단렌즈로 치환될 수 있다. 이때 이 등가 단렌즈의 위치를 제 1주점 혹은 전방주점이라고 칭한다. 제 2주점(Back Principal Point): 피사체에서 입사되는 광선의 입장에서 어떠한 렌즈 시스템은 하나의 등가 단렌즈로 치환될 수 있다. 이때 이 등가 단렌즈의 위치를 제 2주점 혹은 후방주점이라고 칭한다. |